자기개발 리더십

행복의 기준-행복은 과정이다

soomarin 2023. 7. 16. 23:07
반응형

행복한 삶은 고통이나 슬픔이 없는 삶이 아니라 그러한 상태에서도 즐거움과 의미를 느끼는 과정이라고 하버드대학에서 행복학을 가르치고 있는 탈 벤 샤하르 교수는 말했다. 탈벤 교수는 행복이란 즐거움과 의미에 대한 전반적인 경험이라 한다. 그는 열여섯 살에 스쿼시 선수권대회에서 우승하면 행복해질 줄 알았는데 그 행복은 4시간이 지나자 사라졌고 어떻게 하면 지속적으로 행복을 찾을 수 있을까?”라는 질문과 씨름하기 시작했다. 질문에 답을 찾고자 하버드대학에서 행복학을 연구했고 오늘날 세계적인 행복학 교수가 되었다. 그는 행복하려면 다음의 7가지를 하라고 권유한다.

 

 

 

1. 자신의 인간적 속성을 너그럽게 인정하라.

자신의 두려움, 슬픔, 불안, 실수 등을 부정적으로 볼 것이 아니라 자연스런 것으로 받아들이고 인정한다.

2. 직장에서나 가정에서나 의미 있고 즐거운 활동에 참여하라.

한두 시간에 걸친 의미 있고 즐거운 경험은 하루나 심지어 1주일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

3. 마음을 편하게 가지라.

행복은 은행 잔고의 상태가 아니라 마음의 상태에 달려있다.

4. 생활을 단순화하라.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점점 더 짧은 시간에 점점 더 많은 활동을 하려고 애쓰는 데 급급하느라 자신만의 시간과 행복을 뒤로 미룬다.

 

 

5. 몸과 마음이 이어져있다는 것을 기억하라.

규칙적인 운동, 적절한 수면, 유익한 식습관 등은 육체적, 정신적 건강으로 이어진다.

6. 감사를 표현하라.

일상에서 만나는 사람, 음식, 자연이나 상황들에 감사하고 그것의 진가를 음미하면 행복해진다.

7. 많은 사람을 만나려고 하기보다 주변의 소중한 사람들과 시간을 보내라.

행복의 가장 중요한 원천은 우리 주변에 있는 사람들이다.

 

 

이렇게 ‘행복한 삶은 고통이나 슬픔이 없는 삶이 아니라 그러한 상태에서도 즐거움과 의미를 느끼는 과정’이라고 탈 벤 샤하르 교수는 말한 것을 살펴보면 정말 우리가 늘 생각하던 상식적인 이야기들이다. 유명하고 탁월한 분들은 뭔가 특별한 것을 발견하여 제시하지 않을까 하는 기대가 있다면 이러한 내용을 보고 실망할 수도 있다. 그렇게 행복이란 우리가 생각한 적 없는 획기적인 방법과 스킬이 있는 것이 아니라 탈 밴 교수가 말하듯이 “행복이란 즐거움과 의미에 대한 전반적인 경험”이기 때문이다. 평범해서 실망스럽지만 반대로 생각하면 너무 쉬워서 바로 실행할 수 있다면 측면에서는 너무도 좋은 소식이다.

 

탈밴 교수가 행복학을 연구하기 시작하고 오늘날 행복학으로 유명한 교수가 된 것도 열여섯 살에 스쿼시 선수권대회에서 우승하면 행복해질 줄 알았는데 그 행복은 4시간이 지나자 사라졌고 “어떻게 하면 지속적으로 행복을 찾을 수 있을까?”라는 질문과 씨름하기 시작하면서부터다. 그 어떠한 결과도 우리에게 장시간의 행복을 보장해주지 않는다. 따라서 바로 지금부터 행복하고 싶다면 우리의 언행, 계획, 활동에 집중하면서 거기서 의미와 가치를 느끼기 시작하면 좋을 것 같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