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기개발 리더십

리더의 고집과 고정관념이란?

by soomarin 2023. 7. 12.
반응형

신념이라는 말과 비슷한 의미로 고집이라는 말이 있다. 신념의 사전적 풀이는 굳게 믿는 마음이고 고집의 사전적 풀이는 자기의 의견을 바꾸거나 고치지 않고 굳게 버티는 것이다. 두 말의 공통점은 자기가 옳다고 생각하는 바를 끝까지 굽히지 않는다는 점이다. 다른 점은 신념은 부정적으로도 사용되고 긍정적으로도 사용되지만 고집은 대부분 부정적인 상황에서 사용된다. 다른 사람의 의견을 고려하지 않고 자신의 생각이나 방법만을 고수하고 밀어붙이려는 사람에게 사용된다.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자신의 목표를 이루려는 태도, 자신이 알고 있는 부분적인 사실을 모든 사람에게 적용되는 것처럼 강하게 주장하는 태도가 고집이다.

 



기본적으로 자기가 옳다고 생각한 바를 굽히지 않는다는 점에서는 신념과 고집은 같은 말이다. 그러나 나의 입장에서 보면 내 생각은 신념이고 상대의 생각은 고집이라고 볼 수 있다.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감정을 배려하지 않는 자신의 생각이나 방법만을 중시하면서 막무가내로 밀어붙이는 고집 센 사람을 주변이나 사회 안에서 자주 대하게 된다. 이런 사람은 다른 사람들을 힘들게 할 뿐만 아니라 본인도 힘들고 결국에는 양방 다 좋지 않은 결과를 초래한다. 단체의 지도자나 권력자가 고집을 부리면 사회 전체가 어려움을 격고 불행한 결과를 낳는다. 이러한 나쁜 고집이 생기는 이유는 자신은 옳고 다른 사람은 틀리다라는 닫힌 사고와 통제되지 않은 감정을 가지고 사람들을 대하기 때문이다.

 

 

 

고집과 비슷한 말로 고정관념, 통념이라는 말이 있다. 고정관념이란 잘 변하지 않는 굳은 생각, 또는 지나치게 당연한 것처럼 알려진 생각이다. 고정관념은 성, 인종, 민족, 직업 등에 대해서 나타나기도 한다. 고정관념은 일관성 있게 나타나는 증거나 근거가 없는데, 그것이 마치 일관성 있게 나타나는 현상이나 법칙인 것처럼 믿고 견지하는 것이다. 고정관념은 극히 주관적으로 고착된 오래된 습관으로써 새로운 변화나 성장의 방해가 된다. 한편 이와 비슷한 말인 편견은 특정 집단에 대해서 한쪽으로 치우친 의견이나 견해를 가지는 태도. 이 두 개념은 비슷하지만 잘 변하지 않는 굳은 생각,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고정관념이고, 한쪽으로 치우치는 생각은 편견이라고 할 수 있다.

 

신념과 고집은 비슷한 면이 있어서 신념은 부정적으로도 사용되고 긍정적으로도 사용되지만 고집은 대부분 부정적인 상황에서 사용된다. 신념은 자신의 내면에 잠재되어 모든 언행에 영향을 주지만 고집은 자신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도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다른 사람의 의견을 고려하지 않고 자신의 생각이나 방법만을 밀어붙이거나 자신이 알고 있는 부분적인 사실을 모든 사람에게 적용되는 것처럼 강하게 주장하는 태도때문에 주변 사람들에게도 어려움을 야기시킨다. 이렇게 조금은 다른 현상으로 나타나지만 이 두가지 모두 우리가 제거해야할 부정적인 습관이다. 이 습관은 아주 오래된 것으로 우리가 싫다고 해도 그렇게 쉽게 사라지지는 않는다. 수많은 훈련과 자기극복의 노력을 요한다. 신념이 생기고 유지된지가 20년이 되었다면 이것을 제거하고 교정하는데 앞으로 다시 20년이 걸릴 수도 있다. 그렇게 어려운 일임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보다 나은 사람,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서는 반드시 교정하고 제거해아할 요소다.   

반응형